15일 10시 금남로 2가 무등빌딩 특설무대에서 광주3.15의거 기념식이 열렸다.
행사를 준비해온 호남 4.19민주혁명단체 총연합회(회장 김영용)와 4.19 전국통일의병대 중앙본부가 한 달여 준비를 해 왔고 지난 3일에는 ‘광주3.15국가기념일제정을 위한 국회 청원공청회를 국회의원회관에서 전국에서 100여명이 모인 가운데 열띤 토론이 개최되기도 하였다.
김영용연합회장은 광주 3.15 의거가 4.19민주혁명의 최초 시위로 4.19의 기폭제로 광주 3.15 의거가 역사적인 시점에서 재조명돼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광주 3.15 의거는 1960년 3월 15일 낮 12시 45분에 광주시민과 민주당당원들이 봉기한 ‘곡(哭) 민주주의 장송’ 데모가 그 시원으로 4.19의 최초 시위라는 것.
시대정신이 과연 뭣인가?!
잊혀 지거나 왜곡된 역사를 찾아내고 바로 알리는 것은 오늘을 사는 우리 후손들의 역사적 소명이며 뒤늦은 감이 있으나 광주시가 광주 3.15의거 및 4.19혁명 사업지원 조례를 발표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평가받고 있다
일찍이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단재 신채호 선생의 말씀을 굳이 인용하지 않더라도 이제 광주 3.15 의거가 국민들로부터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도록 위상 정립에 우리 모두가 분연히 나서서 앞장서야 할 것이다.
암울한 독재정권인 이승만 정권을 무너뜨리고 4.19항쟁의 도화선이 된 3.15의거가 55주년을 전국적으로 맞이해 마산에서는 국무총리가 참석하고 국가적 행사로 이루어진 반면에 광주3.15의거는 광주광역시장도 참석하지 않은 이상한 국가기념일인 광주3.15의거를 맞이했다.
사회자는 현시장이 참석치 않은 행동에 비판을 가하고 비수를 꼽듯 말하지만 민선지방자치시대에 왠지 뭔가 앞뒤가 맞지 않는 수레바퀴 같다.
반면에 마산에서는 변승기 3.15의거 기념사업회 회장은 자유와 민주를 지키려했던 마산시민들의 3.15정신을 더욱 확대 계승하겠다고 밝혔다.
또, 최근 3.15 의거가 광주에서 시작됐다는 일부 주장에 대해 변 회장의 "대응할 가치도 없다"고 비판했다.
변회장은 ‘2010년 국가기념일 제정 되고나서 국비가 많이 지원되고 있다. 고 말하며 국가기념일이 되었기 때문에 전국화되는 내용들을 많이 담고 있다. 고 말했다.
그는 3·15의거는 마산 정신이라고 단호하게 말한다. 설사 도시 이름이 없어졌다 해도 마산 회원구, 합포구 그대로 살아 숨쉬고 있고 국립묘지가 마산에 있다‘고 잘라 말하는 편협적인 부분이 엿보여 광주 3.15 의거를 지켜보며 씁쓸하기 그지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