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관람불과 및 액션 장르 '아저씨'
4주차 <아저씨>가 예매순위 1위를 차지했다.
국내최대 영화예매 사이트 맥스무비는 <아저씨>의 롱런 원인을 입소문과 여성관객의 증가로 분석하며, 9월 1주차에 누적관객 50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했다. 주연배우 원빈은 맥스무비 트위터에서 조사한 “트위터 팔로우하고 싶은 배우” 1위로 꼽히기도 했다.
국내최대 영화예매 사이트 맥스무비가 25일 오전 10시 집계한 결과, <아저씨>는 예매점유율 22.4%로 예매순위 1위에 올랐다.
맥스무비 김형호 실장은 “<아저씨>가 관객들의 호평이 이어지면서 액션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입소문에 민감한 여성관객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하면서 “9월 1주차에 50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김형호 실장은 “<아저씨>의 여성관객 증가는 배우 원빈의 티켓파워를 인증하는 사례”라면서 꽃미남 스타의 스타성과 구별했다.
<아저씨>의 실제관객평점은 25일 현재 8.77점(10점 만점)으로 500만 명을 돌파한 올 여름 최고 흥행작 <인셉션>의 8.57점보다 높다.
청소년관람불가 등급의 액션 장르에서 이런 호평은 드물다. <올드보이>, <추격자>, <비열한 거리>, <세븐데이즈> 등 기록적인 흥행작들이 유사한 사례이다. 다만 <아저씨>가 이런 사례들보다 더 전통적인 액션 장르 범주에 속한다는 점에서 ‘한국영화 액션 장르의 부활’이라고 볼 수 있겠다.
이러한 입소문 효과는 액션장르 영화의 약점을 만회해주고 있다.
액션장르 영화는 상대적으로 여성관객층의 집객에 약하다. 하지만 <아저씨>의 여성관객 점유율은 매주 올라가고 있다. 개봉주 49%에서 4주차에는 59%까지 올라섰다.
이처럼 여성관객의 증가는 ‘배우’ 원빈의 ‘티켓파워’를 ‘인증’하는 사례이다.
만약 관성적으로 <아저씨>의 여성관객 증가를 ‘꽃미남’ 원빈의 ‘스타성’을 ‘입증’하는 사례라고 본다면, <아저씨>는 초반부터 여성관객들의 주도로 시작했어야 한다.
하지만 그렇지 않았다. <아저씨>는 초반은 장르 속성을 그대로 따라가며 남성관객 주도였다. 관객들의 호평이 이어지면서 입소문에 민감한 여성관객이 증가하고 있다. 즉 영화의 호평과 그것을 만들어낸 주연배우의 호감도가 선순환하는 것이다.
이처럼 롱런 채비를 갖춘 <아저씨>는 9월 1주차에 누적관객 50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