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장물 확인 과정에서 잠수사가 좌현 램프 개방 확인, 23일 8시부터 제거 작업 중
- 24일 오전 7시 20분 현재 작업 밤샘 램프 4개 제거 작업 완료
- 세월호 수면위 12m 끌어올려, 목표까지 1m 남아 있는 상태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석)는 현재 수면 위 10m까지 들어올린 세월호 인양작업을 마무리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세월호 좌현의 선미의 램프를 제거하기로 하였다고 23일 밤 10시 40분경 밝혔다.
23일 오전부터 잭킹바지선 와이어와 세월호 선체간 발생한 간섭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선체자세 조정과 인양 지장물을 정리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오후에는 선미 부에 잠수사를 투입하여 수중에 있는 지장물을 추가 조사하는 과정에서 좌현의 선미 램프(D데크)의 잠금장치가 파손되어 램프가 개방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공정상 인양된 세월호는 반잠수선에 거치하여 목포신항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10m 이상 높이의 선미 램프가 열려있는 상태로는 물리적으로 반잠수선에 거치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세월호를 어렵게 수면 위로 10m 인양한 상황에서, 금번 소조기 내 인양을 완수하기 위해 현장의 상하이샐비지와 TMC, 해수부 등 관계자가 수 차례 회의를 거친 끝에 선미 램프를 제거하기로 결정하였다.
회의에 참가한 현장관계자들은 램프 제거작업이 내일 아침까지 이루어지고, 세월호가 반잠수식 선박에 내일 자정 전까지 거치된다면 이번 소조기에도 인양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23일 8시부터 잠수사를 투입하여 제거작업을 진행 중에 있다. 참고로 현재 모든 잠수작업과 제거작업은 헤드카메라로 촬영하고 있다.
한편, 잠금장치의 파손된 원인은 세월호가 선미 좌현으로 침몰하면서 받은 충격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며, 본 인양 이전에는 해저면과 맞닿아 있어 선미 램프의 파손 여부와 개폐여부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었던 한계가 있다고 말했으며 해양수산부는 아울러『열려져 있는 좌현 선미 램프를 통한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인양 전에 유실방지망 설치를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24일 오전 7시 20분경 밤샘 램프제거작업 속보에 의하면 일단 램프 4개 제거 작업은 모두 완료되었다고 알려 졌으며 세월호는 수면위 12m까지 끌어올려 수면위 浮上(부상) 목표는 1m 남아 있는 데, 문제는 인양 최적기인 소조기가 24일로 끝나는 데 있다.
팽목항 인양 현장에서 기다리며 지켜보는 세월호 미수습 유가족과 이를 지켜보는 국민들은 다시 인양 기대감으로 인양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