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군, 한국국토정보공사(LX)와 식목 행사
모바일모드
|
로그인
|
회원가입
티커뉴스
영광군, 한국국토정보공사(LX)와...
나주시, 4~5월 대규모 체육행사 ...
영광군의회, 신안군의회와 고향...
순천시, ‘2025년 순천시 자전거...
광주시교육청, 초등학교 3학년 ...
장성군, ‘성장장성 록 페스티벌...
광주시, 광주다움 통합돌봄 우수...
광주세계양궁선수권대회, 세계 ...
영광군, ⌜영광 꽃길여행&#...
영광문화예술의전당 <경셩유...
영광군, 한국국토정보공사(LX)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스포츠
시사 고발
국제
교육
연예
소개,홍보
특집
延隱의 세상보기
향토사랑소식
인사,동정
IT,인터넷,미디어
결혼,육아
영광군, 한국국토정보공사(LX)와...
영광군(군수 장세일)은 지난 4일 한국국토정보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 지적재조사추진단 및 영광지사와 함께 다가오는 식목일을 기념하여 군남면 동간·도장리 일원에서 식목 행사를 열고 지적재조사사업에 대...
2025-04-08
영광군의회, 신안군의회와 고향사랑기부제 ...
정치
노관규 순천시장, “그린바이오 산업” 육...
사회
순천만~국가정원~원도심 연결 생태축 완성!
사회
김수연 장성군 탁구선수, “통통 튀는 탁구...
사회
영광군, 수소산업 육성계획 수립 연구용역 ...
사회
광주시, 기업‧대학‧인증기관&#...
사회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광주 시민께 드리...
정치
광주 남구, ‘무등시장 디지털 상점’으로 ...
사회
이정선 광주시교육감, 제77주년 4·3희생자...
교육
영광군, 한국국토정보공사(LX)와 식...
나주시, 4~5월 대규모 체육행사 열린...
영광군의회, 신안군의회와 고향사랑...
순천시, ‘2025년 순천시 자전거의 ...
광주시교육청, 초등학교 3학년 학습...
장성군, ‘성장장성 록 페스티벌’
광주시, 광주다움 통합돌봄 우수사례...
영광군, ⌜영광 꽃길여행⌟...
영광문화예술의전당 <경셩유행가&...
나주시, 서비스 개선위해 ‘시민 의...
스포츠일반
축구
수영종목
야구
스포츠(기타종목)
농구
배구
골프
나주시, 4~5월 대규모 체육행사 열린...
광주세계양궁선수권대회, 세계 양궁...
장성군 전남체전‧전남장애인체...
김수연 장성군 탁구선수, “통통 튀...
광주충장중 베이스볼클럽, 전국소년...
고동주 장성군 당구선수, 제64회 전...
광주 세계양궁대회 결승전, 역대 최...
영광군, 제50회 협회장기 전국남녀중...
광주 남구 반다비 체육센터, ‘장애...
나주시, 영산강 유역 ‘만봉천 자전...
나주시, 4~5월 대규모 체육행사 ...
나주시에서 포근한 봄 날씨에 활기를 더할 전국단위 대규모 체육행사가 연이어 개최된다. 4~5월 상춘객과 더불어 대회 참가 선수단 등 대규모 인파 방문이 이뤄지면서 지역 경제, 관광 활성화에 큰 보탬이 될 ...
2025-04-08
장성군 전남체전‧전남장애...
장성군에서 최초로 열리는 전남체전, 전남장애인체전에 대한 관심과 열기가 뜨겁다. 군은 양대 체전 기간 장성을 찾는 선수단 및 관람객 규모가 3만 4000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먼저 제64회 전남체전은...
2025-04-06
김수연 장성군 탁구선수, “통통 튀는 탁구...
사회
광주충장중 베이스볼클럽, 전국소년체전 광...
교육
고동주 장성군 당구선수, 제64회 전남체전 ...
사회
광주 세계양궁대회 결승전, 역대 최장 진행
스포츠
영광군, 제50회 협회장기 전국남녀중고농구...
사회
영광군 명예 홍보대사, 흥행보증 수...
영광군(군수 장세일)은 4일 군수실에서 영화배우 최귀하를 영광...
순천만국가정원, 새해 첫날 1만3천명...
2025년 을사년 새해 첫날, 순천만국가정원은 약 13,000여 명의 ...
광주 남구, 광주 유일 ‘심뇌혈관 질...
광주 남구(구청장 김병내)는 질병관리청에서 실시한 2024년 심...
김영록 전남도지사, 김수미 국민배우 애도
문화
장성군 백양사, 2024년 산사음악회
문화
윤택·크리스 존슨·김준수, 전남도 홍보대...
문화
김정섭 영광군수 권한대행 예그리나보호작...
사회
해남군, K-콘텐츠 이끌 ‘전남연기캠프’ ...
문화
장성군,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업무협...
사회
영광군 명예 홍보대사, 흥행보증 수...
순천만국가정원, 새해 첫날 1만3천명...
광주 남구, 광주 유일 ‘심뇌혈관 질...
장성군 백양사, 2024년 산사음악회
윤택·크리스 존슨·김준수, 전남도 ...
김정섭 영광군수 권한대행 예그리나...
해남군, K-콘텐츠 이끌 ‘전남연기캠...
장성군,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
광주 남구, ‘워크온 이용회원 수’ ...
광주 남구, ‘청년 STAY 일자리 지원...
강대의칼럼
김세곤칼럼
데스크칼럼
e -독자칼럼
오피니언,해설
무송헌<茂松軒>글씨에 놀...
한산(漢山)그룹 소산(小山) 김재근 회장은 지난 3일 보내온 톡 글에서 사훈으로, 대지(大志, 큰 뜻을 세우고), 영속(永續, 천년토록 함께), 보국(報國, 나라와 세상에 은혜를 갚는다.)으로 밝혔다. 한·일...
2024-12-05
<강대의 칼럼>おもいやり지장(地藏菩薩)상(像) ...
강대의칼럼
<강대의 칼럼>지역민의 발전 위한 일상회복지원...
강대의칼럼
<강대의칼럼>향우(장학)회 운영에 대한 고언(苦...
강대의칼럼
<강대의 칼럼> 한 인물(人物)에 대한 현창(顯彰...
강대의칼럼
<강대의 칼럼> 대한민국의 자랑 “영광 9경”, ...
강대의칼럼
<강대의 칼럼>6.1 지방선거, 국운을 좌우한다!
강대의칼럼
수은 강항의 역사적 현장을 직시(直視)해 보다<난...
강대의칼럼
<강대의 칼럼> 수은 강항의 역사적 현장을 직시...
강대의칼럼
<김세곤 칼럼> 조선의 ...
<김세곤 칼럼> 조선의 청백리&#...
<김세곤 칼럼> 조선의 청백리&#...
<김세곤 칼럼> 조선의 청백리&#...
<김세곤 칼럼> 조선의 청백리 &...
<김세곤칼럼> 일본에서 만난 강...
<김세곤 칼럼> 조선의 청백리 &...
<김세곤칼럼> 일본에서 만난 강...
<김세곤 칼럼> 조선의 청백리 -...
서울
대전
대구
부산
울산
광주
인천
경기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충북
충남
강원
제주
영광군, 한국국토정보공사(LX)와...
영광군(군수 장세일)은 지난 4일 한국국토정보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 지적재조사추진단 및 영광지사와 함께 다가오는 식목일을 기념하여 군남면 동간·도장리 일원에서 식목 행사를 열고 지적재조사사업에 대...
2025-04-08
나주시, 4~5월 대규모 체육행사 열린다
사회
영광군의회, 신안군의회와 고향사랑기부제 ...
정치
순천시, ‘2025년 순천시 자전거의 날’ 행...
사회
광주시교육청, 초등학교 3학년 학습·성장 ...
교육
장성군, ‘성장장성 록 페스티벌’
사회
광주시, 광주다움 통합돌봄 우수사례집 발...
사회
광주세계양궁선수권대회, 세계 양궁인 축제...
사회
영광군, ⌜영광 꽃길여행⌟ 인플...
사회
영광문화예술의전당 <경셩유행가> 공...
문화
영광군, 한국국토정보공사(LX)와...
나주시, 4~5월 대규모 체육행사 ...
영광군의회, 신안군의회와 고향사랑기...
순천시, ‘2025년 순천시 자전거의 날...
광주시교육청, 초등학교 3학년 ...
장성군, ‘성장장성 록 페스티벌’
광주시, 광주다움 통합돌봄 우수사례집...
영광군, ⌜영광 꽃길여행⌟ ...
영광문화예술의전당 <경셩유행가>...
나주시, 서비스 개선위해 ‘시민 의견 ...
포토뉴스
[사회]
영광군, 한국국토정보공사(...
[사회]
나주시, 4~5월 대규모 체육...
[정치]
영광군의회, 신안군의회와 ...
[사회]
순천시, ‘2025년 순천시 ...
[교육]
광주시교육청, 초등학교 3...
[사회]
장성군, ‘성장장성 록 페...
[사회]
광주시, 광주다움 통합돌봄...
[사회]
영광군, ⌜영광 꽃길...
동영상
장성 황룡강 가을꽃축제 기대 만...
전남을 대표하는 장성군 가을축제 ‘장성 황룡...
2024-09-25
영남유림들, 내산서원 선비문화...
소노서원은 조선 현종 2년(1835)에 건립한 것으로 임...
2019-07-17
e협회
캠페인
문학,책
농,임,수산업
교통
건강,등산,캠핑
사진,포토
국내,해외여행
맛집,요리,베이킹
과학,창작
채용,취업,직장,비즈니스
재테크,주식,펀드
[
사회
]
영광군, 한국국토정보공사(LX)와...
등록일: 2025-04-08
[
사회
]
순천시, ‘2025년 순천시 자전거...
등록일: 2025-04-08
[
사회
]
영광군, ⌜영광 꽃길여행&#...
등록일: 2025-04-07
알립니다
기사제보
독자투고
여행갤러리
전국어린이미술공모전
유머마당
맛집이야기
구인
구직
자료실
협찬처 및 광고 신청...
2013년 8월 1일 광주 아-00144호로 지역분권적 차원에서 수도권과 관계없이 광주광역시로 발행처를 변경했으며 지위승계 및 발행인ㆍ편집인을 변경하여 새로이 등록을 마쳤습니다. ...
2020-06-18
협찬처 및 광고 신청받습니다.
2020-06-18
여행비 절반이상을 외상으로 출발하는 후불제바나나...
2017-06-26
[수원] 수원115-12구역 재건축 시공권 ‘태영건설-...
2017-03-28
[서울] 반포주공1단지 1ㆍ2ㆍ4주구 재건축, 정비계...
2017-03-28
GS건설, ‘한강메트로자이’ 오는 5월 분양
2017-03-28
협찬처 및 광고 ...
2017. 강항선생...
강항선생기념...
한국유교대학(인...
한국유교대학(인...
2015 국제디자인...
지역뉴스
서울
대구
부산
인천
광주
대전
경기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충북
충남
강원
제주
포토뉴스
동영상뉴스
UCC 뉴스
커뮤니티
기부뉴스
뉴스 댓글보기
전체뉴스
PDF 월간발행
기자별뉴스
뉴스홈
>
사설ㆍ칼럼
>
김세곤칼럼
<김세곤칼럼>길 위의 역사 2부 - 무오사화 45회
김세곤 (칼럼니스트)성종, 대간·대신·승지들의 간청에 김언신을 용서하다.
등록날짜 [ 2019년06월18일 00시45분 ]
1477년 9월5일에 사헌부·사간원이 합사(合司)하여 아뢰었다. "신 등이 현석규를 논핵하였는데 김언신이 홀로 죄를 입게 되었으니, 신 등도 대죄(待罪)합니다."
성종은 "경등은 현석규가 소인이라고 말하지 않았고, 김언신이 홀로 말하였으니, 경등은 대죄하지 말라."고 전교했다. (성종실록 1477년 9월 5일 6번째 기사) 9월6일에 형조판서 현석규가 사직을 청했다. 성종은 사직하지 말라고 하면서 김언신을 추국하라고 의금부에 전지(傳旨)했다. (성종실록 1477년 9월 6일 1번째 기사)
이어서 대간(臺諫)이 합사하여 아뢰었다. "신 등이 들으니, 지평 김언신을 의금부에 내리었다 합니다. 신 등이 비록 직접 현석규를 가리켜 소인이라 한 것은 아니나, 본래 모두 같은 마음으로 탄핵하였는데, 김언신 만을 추국하니, 신등도 하옥하소서."
성종은 전교했다. "김언신을 하옥한 것은 현석규 때문이 아니고 나더러 소인을 썼다고 한 때문이다. 또 스스로 말하기를, ‘신이 만일 망령된 말을 하였으면, 신이 극형을 당하겠습니다.’하였으므로 다스리는 것이다. 경은 대죄하지 말라." (성종실록 1477년 9월 6일 2번째 기사)
이 날 유자광이 와서 "신은 김언신에 비하면 더 심하게 말했는데, 김언신만을 하옥하고 신은 너그러이 용서하셨습니다. 옥에 나아가기를 청합니다."라고 아뢰었다. 성종은 대죄하지 말라고 전교하였다. (성종실록 1477년 9월6일 3번째 기사)
한편 이조참판 신정이 김언신을 용서하기를 청하는 차자를 올렸다. “전하께서 김언신의 광직(狂直)한 것을 너그러이 용서하여 언로를 넓히소서." 성종은 어서(御書)로 답했다. "김언신이 하옥된 것은 현석규가 곧은 선비이기 때문이다. 경은 어째서 김언신을 옹호하는가? 또 현석규가 참으로 소인인데 내가 썼다면, 경이 전조(銓曹)를 맡았었으니 죄가 없을 수 있겠는가?" (성종실록 1477년 9월6일 7번째 기사)
9월8일에도 이조참판 신정이 상소하여, 김언신을 논하지 말게 청하였으나, 소장을 머물러 두고 답을 내리지 않았다. (성종실록 1477년 9월8일 3번째 기사) 이윽고 예문관 부제학 이명현이 김언신을 용서할 것을 상소하였으나 답하지 않았다. (성종실록 1477년 9월8일 4번째 기사)
이 날 의금부에서 아뢰었다. "지평 김언신이 현석규가 소인이 아닌데도 소인이라 지목하여 기망하여 계달한 죄는, 율(律)이 장(杖) 1백 대, 도(徒) 3년에 해당합니다."
이에 성종은 "기망한 죄는 마땅히 죽여야 하는데, 어찌 율이 경한가? 고쳐 조율(照律)하고 아울러 김언신을 잡아오라."고 전교했다. (성종실록 1477년 9월 8일 5번째 기사 )
이 날 승지 등이 합사하여 김언신을 용서할 것을 청하였으나, 임금은 답하지 않았다.(성종실록 1477년 9월 8일 6번째 기사)
이윽고 동지중추부사 김유가 상소하였다. "대간은 임금의 이목(耳目)입니다. 지금 현석규가 군자(君子)인지 소인(小人)인지는 신이 알지 못하나, 만약 현석규가 군자인데 김언신이 문득 지목하여 소인이라 하였다면 참으로 죄가 있을 듯하지만, 그 마음에 반드시 소인이라 여겨져서 논한 것이니, 또한 잘못 헤아리고 그릇 고집한 데에 불과한 것이고, 김언신이 평소에 현석규와 감정이 있어서 무함하였다는 것은 듣지 못하였습니다. 전하를 덕종·신종에 견준 것은 반드시 전하께서 이 두 임금이 사람 쓰는 도리를 잃은 것을 본받지 말라는 뜻이었을 것입니다. ...
돌아보건대, 김언신은 미천한 자인데, 권세를 두려워하지 않고 품은 바를 모두 드러내어 감히 다투었으니, 논한 것이 비록 맞지 않더라도 그 충분히 격렬하여 단연코 다른 마음이 없고, 강직함의 풍도가 있어 곧 천백 사람 가운데에서 하나입니다. 마땅히 포장하여 사류(士類)를 권하여야 하겠는데 도리어 죄를 당하니, 이로부터 대간의 언로가 막힐까 두렵습니다. 원컨대, 김언신을 석방하소서."
이러자 성종은 김유에게 전교하였다. "소(疏) 가운데에 ‘현석규가 군자인지 소인인지’라는 말이 있는데, 경도 현석규를 소인이라 하는가?"
김유가 대답했다. "현석규는 신에게 족속(族屬)이 되니 심술의 은미한 것은 알지 못합니다. 만약 현석규가 군자인데 김언신이 소인이라고 하였다면 이것은 자기 고집이 그러한 것입니다. 대저 대신의 일을 말하는 사람이 적은데 김언신이 두려워하지 않고 숨김없이 다 진달하였으니 마땅히 포상을 가하여야 할 터인데, 도리어 죄로 책망하면 누가 감히 대신의 일을 말하겠습니까?"
성종은 전교하였다. "김언신이 나더러 소인을 썼다 하기 때문에 내가 대신에게 물으니 모두 ‘그렇지 않다.’고 말하였다. 경같이 상소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알아서 하겠으니, 경은 물러가라."
조금 뒤에 김언신이 항쇄(項鎖)를 갖추고 승정원 뜰에 나오니, 내관(內官) 안중경을 시켜 김언신에게 물었다. "그대가 처음에 자신이 극형을 당하겠다고 말하였는데, 지금 죄가 죽기에 이르렀어도 현석규를 소인으로 여기느냐? 당초에 고집한 것이 잘못이냐?"
김언신이 말했다. "신이 처음부터 죽기를 두려워한 것이 아니고, 또한 잘 못 고집한 것도 아닙니다. 현석규는 참으로 소인입니다."
이러자 성종이 전교하였다. "그대가 죽기에 임하여서도 끝까지 현석규를 소인이라 하고, 나를 덕종·신종이 소인을 쓴 데에 견주느냐?" 김언신이 말했다. "덕종은 노기를 쓰고 신종은 왕안석을 썼으나, 현석규는 두 사람의 음험과 간사를 겸하였는데 전하께서 쓰셨으니 신은 과하다고 생각합니다. 신이 현석규를 소인이 아니라고 한다면 이것은 임금을 속이고 죽는 것입니다."
이러자 성종이 전교했다. "노기· 왕안석은 모두 당류(黨類)가 있었다. 지금 대신·전조에서 모두 말하기를 현석규는 소인이 아니라고 하니, 현석규를 소인이라도 하는 것도 당류가 하는 일인데 이를 숨기는 것이냐?"
김언신이 말했다. "이렇게 아뢴 것에 어찌 붕당이 있겠습니까? 저들이 알지 못하고 말하는 것입니다. 왕안석이 소인인 것을 오직 여회(呂誨) 한 사람이 알았습니다. 신이 어찌 거짓말을 하겠습니까?"
이러자 성종이 전교했다. "내가 그대를 죽이면 걸(桀) · 주(紂) 같은 임금이 되겠다. 그대가 죽어도 용봉(龍逢 : 하나라 때 걸왕의 무도(無道)함을 간(諫)하다가 피살됨) ·비간 (比干 : 주왕의 숙부로 주왕의 악정을 간하다가 피살됨)과 더불어 지하에서 놀고자 하느냐?"
김언신은 "신은 죽은 것을 다행으로 여깁니다."라고 말했다.
이윽고 성종이 전교했다. "그대가 죽음에 임하여 말을 바꾸지 않는 것은 신(信)이라는 말 때문에 그러는 모양이다. 간언하는 신하를 죽인 것은 오직 걸 ·주 뿐이다. 어찌 임금으로서 간언하는 신하를 죽이겠느냐? 내가 그대를 옥에 가둔 것은 그대가 고집하기 때문이다. 당 태종은 간언을 듣는 것이 점점 처음만 같지 못하였다 하는데, 내가 어찌 그와 같겠느냐? 앞으로도 간언할 일이 있거든 말하라. 내가 가상하게 여겨 받아들이겠다. 그대가 강개(慷慨)하고 굴하지 않는 것을 대단히 기뻐한다. 그대의 직무에 임하라."
이어서 성종은 승정원에 명하여 김언신에게 술을 먹이고 예우하여 보냈다. (성종실록 1477년 9월 8일 7번 째 기사) 과연 성종답다. 김언신을 용서하고 예우하다니.
사진 1 창덕궁 인정전
저작권자 ⓒ 이데이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올려
0
내려
0
김세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김세곤칼럼>길 위의 역사 2부 - 무오사화 46회
<김세곤칼럼>길 위의 역사 2부 - 무오사화 44회
<김세곤칼럼>길 위의 역사 2부 - 무오사화 46회
(2019-06-25 10:24:54)
<김세곤칼럼>〔이순신의 올바른 이해 4) 명량해전의 진실 4
(2019-06-17 10:55:21)
노관규순천시장
노관규순천시장
김병내 광주남구청장 ...
이정선 광주시교육감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강종만 영광군수
김영록전남도지사
영광군, 한국국토정보공사(LX)...
나주시, 4~5월 대규모 체육행사...
영광군의회, 신안군의회와 고향...
순천시, ‘2025년 순천시 자전...
광주시교육청, 초등학교 3학년 ...
장성군, ‘성장장성 록 페스티...
광주시, 광주다움 통합돌봄 우...
광주시, 기업‧대학‧...
광주 남구, ‘무등시장 디지털 ...
광주 남구, 청년 위원 32명과 ...
영광군 해상풍력 발전사협 출범
장세일 영광군수, 구징치 중국...
광주시, 사회적가치 실현 민...
순천시, 행안부형 4개 마을기업...
노관규 순천시장, “그린바이오...
순천시, 네덜란드, 덴마크, 프...
광주 세계양궁대회 결승전, 역...
세계가 인정 팹리스 ‘퓨리오사...
나주시, 한-불 수교 140주년 준...
장세일 영광군수, 구징치 중국...
일본 고등학교 교과서 ‘독도는...
야생화에 빠진 여심(女心)
무송헌<茂松...
윤흥식의 2024년...
장성군, ‘성장...
장성군이 오는 19일 오후 6시 장성군청 옆 특설무대에서 ‘성장장성 록 페스티벌(이하 성장록페)&rsq...
2025-04-08
영광문화예술의전당 <경...
순천 「50+인생학교」 수강...
광주시교육청, ‘고교 성취...
현재접속자
57
명
정지시 "S키" 나 오른쪽마우스를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