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수은강항에서 배동신’ 사절단, 일본 한국대사관 방문
전 시 명
전시기간
전시 내용
작품수
(도쿄전시회)
수은 강항에서
배동신
(매주 2회이상 풀피리연주 및 퓨전국악공연)
6월 1일 ~ 9월 30일
- 수은강항선생과 배동신화백의 작품 전시를 통해 피노되어 일본에서의 생활과 경험을 예술 작품으로 풀어낸 두 위인의 개성과 함께 당시의 성과와 업적을 살펴볼 수 있는 전시
- 미술품 경매에 대한 홍보 강조차원임(신문, 방송인터뷰, 작가와의 대화, 전시회 퍼포먼스 등)
50~100점
(한⦁일
국제한복페스티발)
전시회 29~30일
한복은 오천 년 역사동안 우리 겨레를 보호하고, 아름답게 꾸며 준 실생활 의복으로 한복에는 우리 조상이 살아온 삶의 모습과 역사가 고스란히 녹아 있는 아주 소중한 의복으로 착안해 단순히 몸을 보호하는 옷이 아니라, 우리 문화임을 널리 홍보의 장으로 활용한다.
50여점
수은강항선생
국제학술세미나
30일날
(오전)
1. 학술세미나
2. 한복페스티벌 결선발표
2.한복대회
진선미
결선발표
경매진행
(오후)
명화(미술품)명품 경매진행
명화명품
인터넷
3. 수은선생 ‘간양록’의 재발견의 <수은강항선생 일대기> 책자 전달 ‘수은 강항선생 일대기’ 강대의 저자는 수은선생의 일본유교전파에 따른 유교문화의 대중화를 위해 한‧일간의 민간 교류에 원동력을 갖기 위해서라도 일대기 책자 발간이 매우 중요했다고 말하자 참석했던 재일교포 강용희씨와 사토대표는 2019년 한국에 가 국제학술세미나에 참석해 ‘수은강항선생 일대기’가 제작되고 있는 과정을 알았다며 ‘대한민국 석학이 인정한 책’이 출간되었노라고 더 기뻐하며 말했다. ‘수은 강항선생일대기’는 강항의 노래와 북 콘서트로 한‧일 양국에서 올해 수차례 공연이 펼쳐지면서 유교문화를 알릴 전도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 사례로 수은강항선생일대기를 함축한 '강항의 노래'는 2020년 상사화축제에 '강항의 날'을 예고하고 있다.
한편, 수은강항선생의 유물과 유적<간양록(건거록)(필사본)과 강감회요(목판) 綱鑑大成(강감대성) 등>들이 국가지정문화재로 올해 전격 추진 중에 있으며 용역조사에 이어 국제학술세미나로 이어질 전망이다. 사전에 보낸 자료를 모두 검토한 황성운 한국문화원장은 수은강항선생에 대한 일본에 끼친 문화와 교육에 대한 위대함은 익히 잘 알고 있다면서 문화원 건물을 자세히 안내하면서 우리 고유의 한복을 입고 우리나라 예절을 배우고 익히는 한옥으로 고풍스러운 한국관과 임시 전시실로 사용이 가능한 공간을 보여 주며 최대한 협조해 보겠다고 말했다. 특히 참석자들은 세미나실의 다양성과 1층 메인 전시실을 둘러보면서 우리나라의 경이로운 경제적 발전과 문화와 예술의 선진화에 감탄을 금치 못하면서 로비에서 2시간여 마라톤회의에 들어갔다.
<수은 강항에서 배동신 참고 자료> <수은 강항선생 소개> 1567년 태어난 ‘일본 유교의 비조’ 수은 강항선생(1567∼ 1618년)은 사숙재(私淑齋) 文良公 강희맹(姜希孟)선생으로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시인(詩人)이며 서화가의 5대손으로 영광군 불갑면 유봉마을에서 태어났다. 공조와 형조의 좌랑 을 지냈으며 휴가로 고향에 돌아왔다가 정유재란이 일어나 자 군량 수송과 의병 모집 책임을 맡았다. 왜의 수군이 서해 로 돌아 들어오자 선생은 식솔들과 함께 배를 이용해 이순 신 장군 휘하로 들어가려다가 두 형과 함께 왜군의 포로가 되었다. 왜국으로 피노되어 시코쿠(四國) 지방의 오즈(大津)성에 약 1년여, 교토의 후시미(伏見)성에 약 1년 8개월 머물면서 비 밀리에 선조에게 적중봉소를 올리고 탈출을 수차례 기도했으나 실패하고, 2년 8개월 후에 왜의 제자 후지와라 세이카 (강항선생이 지성(至聖)임을 알고 선생의 제자로 조선의 주 자학 이론과 과거제도, 상례 등을 모두 전수 받고, 불교를 배 척한 일본 주자학의 개조)의 도움으로 38명의 조선의 포로 를 데리고 귀국했다. 강항은 일본에서 돌아온 후 조정의 부 름을 받았으나 적국에 잡혀갔던 죄인이라 하여 나서지 않고 은거하며 학문에 힘썼다. 당시 강항선생은 『강항휘초』(姜沆彙抄) 수진본을 남겼는데 사서오경 발문(跋文), 『곡례전경』(曲禮全經), 『소학』(小學), 『근사록』(近思錄) 등 16종을 수록한 책이 현재 일본 국립 공 문서관 내각 문고에 소장되어 있다.
홈페이지 : www.강의나라.com 블로그 : https://blog.naver.com/ yug42 카페 :https://cafe.naver.com/yeonggwanggun https://cafe.naver.com/sueunkanghang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daeui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edaynews69 밴드 : https://band.us/band/7905251 트위터 : https://twitter.com/edaygang 카카오스토리 : https://story.kakao.com/yug42 유투브:https://www.youtube.com/channel/UCxGh0xLrC1X6Ek3eaqsGwVg/videos?disable_ polymer= <편집자 주> 姜沆:日本儒学(朱子学)の父 藤原惺窩との縁 姜沆は比較的自由な捕虜生活を送っていたが、当時の日本社会に同化されることはなかった。 彼は自分の節度を曲げずに、国に帰るという一念で日本語の勉強も一切していなかったという。 しかし壬辰倭乱(文禄の役)の前、日本に訪れた朝鮮の使臣を通じて、若干朱子学に接していた 僧侶藤原惺窩(1561-1619)との出会いがそれまでの姜沆を変えることとなる。 藤原惺窩は日本にまだ普及していなかった朱子学をより深く学ぶため、当時藤堂高虎によって大洲から 京都の伏見城に移されていた姜沆を訪れて行った。その時、朱子学の勉強のために僧衣まで脱いで、 正装した藤原の学問に対する姿勢に、姜沆は大きく感動されたという。そのことがきっかけとなり、 姜沆は藤原惺窩に四書五経など朱子学を教え、日本に朱子学つまり儒学が定着できる基礎を築き上げた。 そして1598年豊臣秀吉の死後、徳川家康は日本天下の統一と同時に江戸に幕府を開き、 戦争で混乱していた社会の安定のため、新しい時代の政治理念とし価値観として儒学を受け入れる。 それは当時の支配階級のイデオロギーに大きな影響を及ぼし、後には朱子学を教える学校(寺小屋: 江戸時代の庶民のための初等教育機関)もできたという。このように日本社会に朱子学の根を下ろしたのが 藤原惺窩だとしたら、その根が下りるように種を蒔いてくれたのは、姜沆であるといえるだろう。 400年が過ぎた今でも、愛媛県大洲の人々に、姜沆が日本朱子学の父と呼ばれているのもそのためである。
<배동신 화백 소개> 배동신 화백은 1920년 6월 16일 광주 광산구 송정동에서 배연원과 조옥진의 6남매 중 셋째로 태어났다. 금강산에서 배동신이 혼자 앉아 그림을 그리던 모습을 지켜본 박수근이 재능을 발견하고 그림의 기초를 일러주었다. 이후 박수근의 소개로 평양에서 장이석을 만나게 되고 문학수의 권유로 동경유학길에 오르게 된다. 1939년 가와바타화학교(川端畵學校)에 입학하여 본격적으로 그림의 기초를 익혔다. 이 무렵 동경에서 문학수와 이중섭을 만나 더욱 화가로서의 열정을 불태운다. 배동신은 일본의 유명한 미술교수의 딸과 사랑에 빠진다. 와타나베 마사에는 ‘기교도 드러나지 않고 선도 꾸임이 없으면서 모든 움직임을 포착하고 있는 배동신의 그림에 매료되었던 것이다. 그들과의 사이에 첫째 아들 ‘용’이가 태어나고 둘째를 임신한 상태에서 결혼 승낙을 받기 위해 며칠을 대문간에서 서성였으나 거절당했다. 배동신 화백은 23살의 젊은 나이에 일본 자유미술가 협회전에 입상하면서 일찍이 천재성을 인정받았다. 1974년 도쿄의 화랑과 오사카 한국화랑에서 열린 개인전에서였다. 일본 황실에서도 직접 전시장을 방문, 감탄을 아끼지 않았다. 4호짜리 「자화상」은 일본인 컬렉터가 날마다 전시장에 와서 사고 싶다고 했지만 ‘한국에 있어야 할 그림’이라고 가지고 돌아왔다고 전한다. 날마다 술에 빠져 급성간염으로 쓰러져 적십자 병원에 입원하게 된다. 이때 달려온 여인이 살레시오 여고 음악교사로 재직하던 전남여고 시절의 미술부 제자 김인규였다.(2014년 타계) 조대 음악과 박기석교수로부터 입원소식 듣고 달려와 지극정성으로 간호해주었다. 그의 대표작은 「항구의 배」와 「자화상」 「조선장」 「목포항구」 「무등산」 「여인-인물」 시리즈 등이 있는데 주요작품은 일본 동경 우에오미술관과 서울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밖에도 1974년 일본전이 끝난 뒤 가지고 돌아온 「자화상」(1953년, 33×20㎝) 한국의 드로잉 걸작으로 평가받은「드로잉」작품 (1985년작, 3호크기) 드로잉걸작, 르몽드지에 소개된 누드 드로잉(1959년 64×45㎝) 「복숭아」(1961년작, 62×40㎝) 「무등산」(1963년작 54×40㎝) 「붉은 옷을 입은 여인」(1964년작 52×40㎝) 「나부」(1978년작, 40×64㎝)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