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04월06일sun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뉴스 > 사회
kakao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광주다움 통합돌봄’ 위기 가정에 든든한 안전망 역할 ‘톡톡’

관내 동 행정복지센터, 신청·의무 방문 등 4734건 현장 찾아
등록날짜 [ 2023년05월07일 10시12분 ]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가 지난 4월 1일 서비스를 시작한 ‘광주다움 통합돌봄’ 사업이 시행 한 달 만에 돌봄이 필요한 시민들의 든든한 사회안전망 역할을 하고 있다.
 
‘광주다움 통합돌봄’은 돌봄 영역의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 시민 누구나 돌봄이 필요할 때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망 구축을 목표로 출발했다.
 
기존 돌봄 서비스를 연계하되 돌봄 틈새에는 ‘광주+(플러스)돌봄’인 가사·식사·동행·건강·안전·주거편의·일시보호 등 7대 서비스를, 갑작스런 위기상황은 ‘긴급돌봄’ 서비스를 지원한다. 
 
광주다움 통합돌봄 신청은 4월 한 달간 2309건이 접수됐으며, 3422건의 서비스가 의뢰됐다. 휴일 등을 감안하면 하루 평균 115명이 광주다움 통합돌봄 서비스를 신청한 셈이다.
 
특히 신청자의 42.8%(988명)는 돌봄콜(1660-2642)을 이용해 신청한 것으로 나타나 ‘전화 한 통이면 집으로 찾아가는 단일 신청 창구’의 실효성이 입증됐다.
 
현장방문을 통한 사례 발굴과 맞춤형 서비스 제공도 활발하게 이뤄졌다.
 
97개 동 행정복지센터 사례관리 담당자 323명은 돌봄이 필요한 시민들의 상황을 직접 확인하고 개별 처지에 맞는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해 가정방문을 실시, 한 달 동안 4734건의 현장방문 활동을 펼쳤다.
 
현장방문은 시민 신청(2309건)과 사회적 관계망이 단절돼 신청하지 못할 것으로 우려되는 돌봄 사각지대 선제적 의무방문(2425건)으로 진행됐다.
 
이처럼 신청하지 않아도 찾아가 돌봄이 필요한 상황을 살피고 복지정보를 안내하는 의무방문이 시민 신청 건을 웃돌 정도로 활발하게 추진되면서 복지 사각지대가 대거 발굴되는 성과를 거뒀다.
 
현장방문 결과, 혼자 생활이 어려워 돌봄이 필요한데 돌볼 가족이 없고 기존 서비스를 이용하기도 어려워 광주다움 통합돌봄 대상으로 선정된 시민은 2820명에 달했다.
 
돌봄 대상의 대부분이 노인일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장년(417명), 청년(29명), 아동(35명) 등 전 생애주기에 걸쳐 다양한 시민이 서비스를 받았다.
 
이중 수급자나 차상위 등 기존 제도권 저소득층이 56.9%(1478명)였으며, 기존 복지서비스 지원 대상에는 해당되지 않았던 중위소득 85% 이하 시민도 1134명으로 집계됐다. 본인 부담으로 이용하는 시민은 58명이었다.
 
이처럼 경제적 형편에 상관없이 시민 누구나 돌봄이 필요할 때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공공돌봄시스템을 지향하는 광주다움 통합돌봄의 보편적 접근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돌봄 지원 사례로는 기존 돌봄을 받고 있지만 틈새 지원이 추가로 필요한 시민이 51.4%(1449명)였으며, 기존 돌봄제도를 이용한 경험이 없는 돌봄 사각지대의 시민은 48.6%(1371명)였다.
 
광주시는 광주다움 통합돌봄이 식사나 집안정리 등을 지원받아 일상을 회복하고, 사회적 관계망을 되살려 자살과 고독사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더불어 의료적 필요가 아닌 돌봐줄 사람이 없어 입원하는 ‘사회적 입원’을 예방하고, 상담 과정에서 치매 증상을 발견해 가족에게 알리는 등 가족조차 인지하지 못한 위기상황에 조기 개입하는 성과도 있었다.
 
통합돌봄 서비스 개시에 앞서 광주시는 공무원과 민간 담당자 교육 78회, 홍보활동 3457건 등 사전 준비를 철저히 했다. 
 
또 시민의 다양한 삶을 담아내는 복지사업으로, 시행 초기 예상치 못한 어려움이 제기될 수 있는 만큼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고 지체 없이 개선하기 위해 ‘시-자치구-공공기관 실무회의’를 격주로 개최하고 있다.
 
10일 열리는 8차 회의에서는 경찰청 및 검찰청 범죄피해자지원센터와 함께 범죄피해 시민의 회복과 일상복귀를 위해 광주다움 통합돌봄 시스템이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위기상황에 돌봄이 필요한 시민은 거주지 동행정복지센터나 돌봄콜(1660-2642)로 신청하면 된다.
저작권자 ⓒ 이데이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올려 0 내려 0
송은숙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광주시, 5·18 지방 공휴일 적극 권고
광주시, 여름철 자연 재난 종합점검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장성군, 벼 모판 관주처리 현장 연시회 개최 (2023-05-07 10:17:56)
김영록 전남도지사, 에너지신산업 중앙아시아 진출 물꼬 (2023-05-06 11:37:43)
광주 남구, ‘국궁 활쏘기’ 가...
순천시, ‘민생안정 긴급대책’...
김수연 장성군 탁구선수, “통...
영광군, 수소산업 육성계획 수...
광주시, 기업‧대학‧...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광주 ...
광주충장중 베이스볼클럽, 전국...
현재접속자 295